암호화폐 - 기본 지식
[암호화폐 - 기본 지식] 오라클 문제(oracle problem)
jsam_block
2023. 12. 23. 13:32
반응형
스마트 컨트랙트에서의 "오라클 문제"는 블록체인 및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이 외부의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소스(오라클)에 의존해야 하는 문제를 지칭합니다. 이 문제는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적인 특성인 탈중앙화와 신뢰성을 어떻게 유지하면서 외부 세계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에서 비롯됩니다.
오라클 문제의 핵심
- 스마트 컨트랙트의 한계: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내에서 자동으로 실행되는 계약입니다. 하지만 이들은 자체적으로 외부 세계(예: 주식 시장의 가격, 기상 조건 등)의 데이터를 직접 알거나 검증할 수 없습니다.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필요: 스마트 컨트랙트가 효과적으로 작동하려면, 신뢰할 수 있는 외부 데이터 소스가 필요합니다. 이 데이터 소스를 '오라클'이라고 부릅니다.
오라클의 역할
- 데이터 제공: 오라클은 외부 세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에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는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여 조건에 따라 실행될 수 있습니다.
- 브리지 역할: 오라클은 블록체인과 실제 세계 사이의 '브리지' 역할을 합니다.
문제의 본질
- 신뢰와 탈중앙화의 딜레마: 블록체인은 탈중앙화와 불변성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지만, 외부 데이터 소스(오라클)에 의존하면 중앙화된 포인트가 생겨 신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조작의 위험: 오라클이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면, 스마트 컨트랙트는 부정확하게 실행될 수 있으며, 이는 금융 손실이나 기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안
- 분산 오라클 네트워크: 여러 오라클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고, 하나의 오라클에 대한 의존도를 줄입니다.
- 인센티브 메커니즘: 오라클에 정확한 데이터 제공을 위한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 신뢰 최소화 기술: 암호화 기술, 컨센서스 메커니즘, 스마트 컨트랙트 검증 방법 등을 통해 오라클의 신뢰를 최소화합니다.
오라클 문제는 블록체인 기술이 외부 세계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이 문제의 해결은 스마트 컨트랙트와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