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 기본 지식

[암호화폐 - 기본 지식] 암호화폐의 유형을 분류 기준

반응형

암호화폐의 유형을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하며, 이는 암호화폐의 기능, 사용 목적, 기술적 특성, 발행 방식 등에 따라 다릅니다. 주요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능에 따른 분류

  • 가치 저장 수단: 비트코인과 같이 디지털 골드로 간주되며,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 교환 매체: 경제 활동에서 화폐처럼 사용되는 암호화폐. 예를 들어, 라이트코인(Litecoin)이나 비트코인 캐시(Bitcoin Cash)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유틸리티 토큰: 특정 플랫폼이나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토큰. 예를 들어, 이더리움의 가스비로 사용되는 이더(ETH),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에서 사용되는 토큰 등이 있습니다.
  • 보안 토큰: 전통적인 금융 자산을 디지털 형태로 나타내며, 주식이나 채권과 유사한 특성을 가집니다.

2. 기술적 특성에 따른 분류

  • 코인: 독자적인 블록체인을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 예: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 토큰: 기존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암호화폐. 예: ERC-20 토큰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합니다.

3. 발행 방식에 따른 분류

  • 마이닝 기반: 채굴 과정을 통해 새로운 코인이 생성되는 방식. 예: 비트코인.
  • 프리마인드: 발행 초기에 이미 특정 수량의 코인이나 토큰이 생성되어 있는 방식.
  • ICO/IEO/STO: 초기 코인 제공(ICO), 초기 거래소 제공(IEO), 보안 토큰 제공(STO) 등으로 자금을 모으며 코인을 발행합니다.

4. 용도 및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 디지털 화폐: 일상적인 거래에 사용되는 디지털 형태의 화폐.
  • 플랫폼 토큰: 특정 플랫폼의 구동을 위해 사용되는 토큰.
  • 거래소 토큰: 특정 암호화폐 거래소와 관련된 토큰으로, 거래 수수료 할인 등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  

5. 규제 및 법적 지위에 따른 분류

  • 규제 대상: 일부 국가에서 금융 자산으로 분류되어 규제를 받는 암호화폐.
  • 비규제 대상: 명확한 규제가 없거나 법적 지위가 불분명한 암호화폐.

이러한 분류 기준들은 암호화폐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것이며, 하나의 암호화폐가 여러 분류에 속할 수도 있습니다. 암호화폐의 발전과 함께 이 분류 기준들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변화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