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 기본 지식

[암호화폐 - 기본 지식] 트레블 룰

반응형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적용되는 '트래블 룰'은 국제적인 자금세탁방지(AML) 기준의 일환으로 도입된 규정입니다. 이는 주로 암호화폐 거래와 관련된 자금의 이동을 추적하고, 불법 활동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아래에서 트래블 룰의 주요 내용과 한국 내에서의 적용에 대해 설명합니다.

 

1. 트래블 룰이란?

- 정의: 국제 금융조치 태스크포스(FATF)가 제안한 규정으로, 암호화폐 거래소 간에 이루어지는 거래에 대해 송금인과 수취인의 신원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하도록 요구합니다.

- 목적: 자금세탁 방지와 테러 자금 조달 방지를 목적으로 하며,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의 규정과 유사합니다.

 

2. 한국에서의 트래블 룰 적용

- 법적 근거: 2021년부터 한국의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개정을 통해 트래블 룰이 도입되었습니다.

- 적용 대상: 한국 내 모든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이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거래소 간 또는 거래소와 개인 간의 모든 거래에 대해 적용됩니다.

- 정보 수집: 거래소들은 거래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거래 당사자의 신원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3. 트래블 룰의 영향

- 투명성 증대: 암호화폐 거래의 투명성을 높이고, 불법적인 자금 이동을 감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사용자 검증 강화: 거래소 이용자들은 보다 철저한 신원 확인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 규제 준수 부담: 거래소들은 이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추가적인 시스템과 절차를 구축해야 하며, 이는 운영상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4. 사용자에 대한 영향

- 개인 정보 보호: 거래소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방식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 거래 절차 복잡성: 일부 사용자들은 강화된 신원 확인 절차로 인해 거래 절차가 복잡해졌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 트래블 룰은 국제적인 자금세탁방지 기준에 부합하는 조치로, 암호화폐 시장의 투명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거래소와 사용자 모두에게 새로운 도전과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입니다.

반응형